음절 구조의 제약
음절 구조의 제약 ※ 음절 구조 제약이 일어나는 경우 1. 초성에는 ‘ㅇ’이 올 수 없다 이, 어, 우 등→ 모음만으로 이루어진 음절의 'ㅇ'은, 한 음절이 자음으로 시작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는 소극적인 역할을 함. 2. 초성에는 둘 이상의 자음이 올 수 없다.*ᄭᅮᆷ, * ᄯᅥᆨ, * ᄧᅡᆨ, * ᄢᅮᆯ [옛말(15세기)에는 초성에 둘 이상의 자음이 올 수 있었음] 3. 종성에는 ‘ㄱ, ㄴ, ㄷ, ㄹ, ㅁ, ㅂ, ㅇ’만 올 수 있다 (음절의 끝소리 규칙) → 종성 자리에 올 수 없는 자음이 놓여 발음할 수 없으면, 다른 자음으로 교체되는 음운 변동이 일어나 발음이 가능해짐. 옷만 → 옫만 → [온만] ‘ㅅ → ㄷ’ : 음절 구조 제약과 관련된 교체 부엌 → 부억 ‘ㅋ → ㄱ’ ..
2024. 7. 29.
단축키
내 블로그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새 글 쓰기 |
W
W
|
블로그 게시글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모든 영역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